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유지? 청년도약계좌 가입?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중복가입은 안됩니다.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분들은 만기 날짜가 면 약 1년 정도 남아있어 고민되실 텐데요.

    청년도약계좌는 올해 6월에 출시됩니다. 하지만 청년도약계좌의 만기는 5년인 만큼 하루라도 빨리 적금을 가입하여 만기수령금을 받고 싶으실 겁니다.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에서 고민 중이신 분들을 위해서 두 상품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해 보았습니다.

    총급여가 3,6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청년희망적금이 더 유리할 수 있는데요. 어떤 점에서 더 유리한지, 만기, 납입액, 정부기여금 등 차이점을 한눈에 쉽게 알아보실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본인의 상황에 알맞고 최대한 많은 이자를 받으실 수 있는 적금으로 잘 선택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국가에서 청년에게만 주는 특혜 놓쳐서 손해보지 마시길 바랍니다.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

    중복 가능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재직자내일채움공제
    중복 불가능 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나 만기시에는 중복가입 가능)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부분도 많고 예산 부족과 겹수혜가 되는 문제로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중복으로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내일저축계좌, 재직자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들은 중복으로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소득층이거나 중소기업에 근무 중이라면 청년도약계좌도 같이 혜택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 

    구분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만 19세 ~ 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 )
    소득 조건 전년도 개인소득 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2,6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제한없음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혜택 은행이자 연 5%
    (은행별 추가 우대금리 별도)
    월 40~70만원 저축시
    지원금 최대 6%
    (최대 월 40만원)
    이자소득 비과세
    저축
    장려금
    연 2~4%
    (최대 36만원)
    비과세 이자소득세,
    농어촌특별세 면제
    가입방법 5부제 (출생연도별 가입일자 상이) 미정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공통점   이자소득세 비과세 

     

    ■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차이점 

    1) 가입기간 : 2년 > 5년으로 늘어남

    2) 최대 납입금 : 50만 원 > 70만 원으로 늘어남

    3) 이자소득세 : 15.4% > 비과세로 이자소득세 없음 

    ☞비과세란?
    :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은행에서 예금이나 적금을 가입을 하면 만기 시에 세금이 붙습니다. 
    소득세 14%+주민세 1.4%로 총 15.4%의 세금을 내게 되는 것입니다. 비과세 상품이란 이런 소득세와 주민세가 붙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4) 매칭비율 : 1년 차 2%, 2년 차 4% > 납입금액의 3~6%

    5) 정부기여금 : 만기 시 최대 36만원 > 월 최대 24,000원, 5년 만기시 144만 원

    6) 금리 : 은행별 5~6% > 미정

    7) 특별해지 : 좌동(생애최초주택구입 사유 제외) > 사망, 해외이주, 퇴직, 폐업+정부지원금, 비과세 혜택 가능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가입 대상

    - 만 19세~34세의 총 급여소득액이 3,600 만원 이하에 해당되는 경우

    - 종합소득금액이 2,600만 원 이하에 해당되는 경우

     

    청년희망적금 수령액

    - 매월 50만 원 납입으로 만기 시 시중이자 최대 6% + 저축 장려금 추가지원

    [예시] 청년희망적금 예상만기수령액

    매월 50만 원씩 2년간 납입 시 만기 수령액?
     > 원금 1,200만 원 + 저축 장려금 36만 원 = 1,236만 원 + 6% 이자 (시중이자)1,310만 원

    청년희망적금 핵심 정리

    - 만기 : 2년

    - 납입금 : 월 5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 매월 50만원 납입 시 저축 장려금은 최대 36만 원 수령 가능

    - 이자 : 1년 차 2%, 2년 차 4% > 6%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2024년 2월 또는 3월 24일 이후 추가 모집기간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 미가입자 및 중도 해지자는 올해 6월부터 12월 23일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아래 3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1) 만 19세~36세의 청년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 )

    2) 개인소득 기준 총 급여액 6,000만 원 이하는 정부기여금 지급 + 비과세 적용

    -(총 급여액 6,000~7,5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정부기여금 지급 없음 (X) , 비과세는 적용)

    3) 가구소득기준 중위 180% 이하

    ☞ 중위소득이란?
    : 대한민국 국민들의 소득을 1번부터 ~ 100번까지 일렬로 나열했을 때 가장 중간인 50번에 위치한 소득 값을 말합니다.  중위소득 100% 기준으로 본 소득을 말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 를 계산하여 각종 복지 정책의 대상자를 판별할 때 활용됩니다.

    중위소득 확인

    가입혜택

    본인납입금 + 정부 기여금 + 경과이자 (이자소득에는 비과세 적용!)

    개인소득 월 납입한도(월) 기여금 지급한도(월)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월)
    2,400만원 이하 70 만원 40만원 6% 2.4만원
    3,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3만원
    4,800만원 이하 60만원 3.7% 2.2만원
    6,000만원 이하 70만원 3.0% 2.1만원
    7,500만원 이하      

    최종 만기 수령액은 본인 납입금과 정부기여금, 경과이자가 합산된 금액으로 지급됩니다. 특히 이자소득에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개인 소득이 낮을수록 지원이 좋습니다. 

     

    금리

    가입 후 3년 고정금리 + 이후 2년 변동금리 적용

    [예시] 청년도약계좌 예상만기수령액

    매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 시 만기 수령액?
    원금 4,200만 원 +정부기여금 126만 원(21,000원 X 5년) + 연 이자 640만 5천 원 (6%로 가정) = 49,665,000원
    세금은 비과세 적용, 연 6% 정도로 이자계산하면 총만기 시 수령액은 약 4,900만원 정도입니다.

    신청기간

    올해 6월부터 가입신청을 받아 비대면 심사진행 예정입니다. 구체적인 시기는 추후 나올 예정입니다.

     

    중복 가능 불가능

    중복 불가능(X) - 청년희망적금(중도해지나 만기시 가입 가능)

    중복 가능(O)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도약계좌 기여급 지급 한도

    -총급여 기준 4,8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월 40만 원에서 60만 원을 납입하여도 정부기여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총 급여 기여급 지급한도
    2,400만원 이하 40만원 (월 2.4만원)
    3,600만원 이하 50만원 (월 2.3만원)
    4,800만원 이하 60만원 (월 2.2만원)
    6,000만원 이하 70만원 (월 2.1만원)

    심사기준

    - 비대면 심사 예정, 가구원은 가입 당시 기준으로 심사

    - 개인소득과 가구소득은 2022년 소득이 확정되기까지는 2021년 소득 기준으로 가입 여부를 판단합니다.

    - 1년 주기로 개인 소득을 심사합니다. 1년 주기로 심사과정을 거쳐 기여금 지급 규모 조정과 예기치 못한 불이익 방지를 위해서 가구 소득은 미반영됩니다.

    청년도약계좌

     

     

    >>> 

     

    >>>

    반응형